오는 5월부터 시행
대중교통 지출액 정률 적립, 전국 단위 적용
 |
▲ 국토교통부는 기존 알뜰교통카드 시스템을 개선한 K-패스 사업을 오는 5월 시행할 예정이다. (자료=국토교통부) |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오는 5월부터 대중교통비의 20~53%를 절감할 수 있는 K-패스 서비스가 시작된다.
1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서민·청년층 등 국민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고 정기적인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K-패스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최대 60회까지 요금 일부를 다음 달에 환급해 주는 교통카드 서비스다.
지출 금액의 일정비율로 일반은 20%, 청년층은 30%, 저소득층은 53%를 환급받을 수 있다.
매월 대중교통비로 평균 7만 원을 지출하는 사람이라면 일반인은 1만4000원, 청년은 2만1000원, 저소득층은 3만7000원을 절감해 연간 기준으로는 17~44만 원까지 아낄 수 있다.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는 K-패스로의 회원 전환 절차를 거치면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에 발급받은 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해 K-패스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신규 이용자는 5월부터 K-패스 공식 누리집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11개 카드사의 누리집을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다.
카드사의 추가 할인혜택(최대 10%)도 받아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시내버스나 지하철 외에도 GTX-A, 광역버스 등 고비용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K-패스 혜택을 제공해 장거리 출·퇴근에 따른 이용자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토부는 K-패스에 참여하는 지역도 현재 176개 지자체에서 189개 지자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인구수가 10만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를 제외한다면 사실상 전국 모든 지자체가 사업에 참여하는 셈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