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 좌석 안전띠 착용 의무화 불구 아직도 안전띠를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게티이미지뱅크) |
[세계로컬타임즈 임현지 기자]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이 의무화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정착에는 속도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뒷좌석의 경우 10명 중 3명만이 안전띠를 착용하는 것으로 조사돼 홍보와 단속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1일 한국교통안전공단이 발표한 '2018년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 보고서' 등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안전띠 착용률은 86.55%였으나 앞좌석은 88.08%, 뒷좌석은 32.64%로 큰 차이를 보였다. 뒷좌석 탑승자 10명 중 7명은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은 것.
![]() |
▲(사진=한국교통안전공단 제공) |
지역별로 살펴보면 앞좌석 안전띠 착용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으로 92.6%가 이를 지키고 있었다. 이어 서울(91.8%)과 경기(90.1%)가 뒤를 이었다. 뒷좌석 안전띠 착용률이 높은 지역은 전남(55.2%)와 제주(54.5%), 울산(52%) 등이었다.
제주와 울산은 뒷좌석 안전띠 착용률이 높은데 비해 앞좌석 안전띠 착용률은 각각 80%, 81.4%로 비교적 낮았다. 뒷좌석 안전띠 착용률은 대전(11.6%)과 부산(15.3%), 광주(20.7%)가 낮았다.
뒷자리 안전띠 착용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에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치다. 국제교통포럼(ITF)에 따르면 스웨덴과 독일, 덴마크 등 교통안전 선진국은 이미 1980년대에 뒷좌석 안전띠 착용을 의무화했다.
이들 국가의 전 좌석 안전띠 착용률은 이미 90% 이상이다. 특히 독일의 뒷자리 안전띠 착용률은 97%에 이르며 스웨덴과 덴마크 역시 90%를 상회한다.
안전띠 착용 의무화 시기가 비교적 늦고 착용률 또한 낮다 보니 관련 사고 발생률도 높았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도로교통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안전띠 착용 여부별 사상자 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안전띠 착용 유무가 확인된 교통사고 사상자 중 안전띠 미착용으로 인한 사망자는 1,284명이었다.
부상자는 8만4,862명으로 사망률은 1.49%에 달한다. 안전띠를 착용했을 경우 사망률은 0.36%다.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으면 사망 가능성이 4배 이상 높아지게 된다.
소병훈 의원은 "안전띠 착용이 보편화되었다고 생각하지만 일부에서는 여전히 안전 불감증에 빠져 있다"며 "이에 지속적인 홍보 및 강력한 단속을 통한 예방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다행히 안전띠 착용과 관련한 특허출원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다. 착용 여부를 감지하고 경고로 알려주며, 사후에 심폐소생술까지 가능한 기술이 등장하고 있었다.
특허청에 따르면 안전띠 착용 관련 특허출원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3건에 머물다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4년간 연평균 27건으로 배 이상 늘었다.
안전띠 착용과 관련된 기술은 ▲착용 모니터링(착용 여부 감지·경고 등) ▲안전띠 스마트 시스템(사고 예방 제어·시스템 등) ▲안전띠 구조(편의성·견고성 향상 등) 분야로 나뉜다.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기술별 특허출원 비중은 착용 모니터링 62건(36.5%), 스마트 시스템 61건(35.9%), 안전띠 구조 47건(27.6%) 순이었다.
특히 2015년부터는 안전띠 스마트 시스템 기술 분야 중 차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예방적 기능에 초점을 맞춘 특허가 나오기 시작했다.
안전띠를 이용해 운전자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심정지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기술이 대표적이다. 졸음운전을 감지해 진동시켜 깨우는 등 운전자 상태를 관리하고 이에 따라 제어하는 기술도 등장했다.
특허청 관계자는 "안전띠는 교통사고날 경우 운전자와 탑승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사후적 기능 때문만은 아니다"라며 "사고 후 보다 사고 전 예방을 위한 안전띠 착용 기술에 대한 다양한 특허출원의 비중은 점점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