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폐배터리 회수·재활용체계 구축·운영, 민간 재활용산업 활성화 지원
 |
▲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와 지자체 산업화센터 개요 (사진=환경부) |
[세계로컬타임즈 손성창 기자] 환경부는 전기차 보급 확대로 늘어나는 폐배터리의 회수·재활용체계를 지원하기 위해 전국 4개 권역에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를 준공하고, 운영에 들어간다.
4개 권역은 경기 시흥시(수도권), 충남 홍성군(충청권), 전북 정읍시(호남권), 대구 달서구(영남권)이다.
거점수거센터는 2021년까지 시범운영을 통해 성능평가 및 매각절차를 확정한 후 민간매각이 허용되는 내년 1월부터 정식으로 운영된다. 사업비 171억 원이 투입됐으며, 한국환경공단에서 운영을 맡는다.
거점수거센터는 전기차 소유자가 정부에 반납하는 폐배터리를 회수해 잔존가치(남은 용량 및 수명)를 측정한 후 민간에 매각하는 등 재활용체계의 유통기반 역할을 한다. 전기차 폐배터리 반납대상은 2020년까지 보급된 13만 7,000대이고, 2021년 7월말 기준 반납 648대중 107대는 실증연구 활용하고 있고 541대는 보관 중이다.
한편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수도권 거점수거센터를 방문해 운영 준비상황을 26일 살펴보며, "배터리의 제조부터 재활용까지 선순환 생태계 조성을 통해 재활용사업을 신성장산업으로 창출하겠다"며,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가 지렛대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