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천시는 교통안전시설에 고유의 디자인을 입힌 교통안전 통합지주 설치를 추진한다. 사진은 갈삼사거리 신호등 모습. (사진=인천시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장선영 기자] 인천시는 부평구, 인천지방경찰청 협업을 통해 교통안전시설에 인천만의 디자인을 입힌 교통안전 통합지주 설치를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교통안전 통합지주는 교통신호 지주에 가로 조명과 도로 이정표 등을 설치 할 수 있는 시설물을 말한다.
28일 인천시에 따르면 이는 보행자 중심의 교통안전과 보행권 확보라는 공통의 목적을 위해 추진하는 것이며, 큰 예산 없이 각 기관의 업무 협업만으로 이루어 낸 성과로 큰 의미가 있다. 통합 설치는 여러 장점이 있으나 안전성과 관리 주체 문제로 사실상 설치가 어려웠다.
인천시에서는 지난 2016년 설치 계획을 세워 부평구 갈삼사거리 외 3개소에 시범 설치하고, 통합에 대한 근거 규정을 마련했다.
2018년에는 특허청 디자인 등록에 이어 통합지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신호등(회로 이중화)의 특허등록을 완료했다.
![]() |
▲ 최종 통합지주 디자인(사진=인천시 제공) |
부평구 교통사고 다발지역 중 후방에 설치 된 노후 교통신호철주, 야간 조도확보가 필요한 횡단보도, 주 보행로를 침범한 시설물 등으로 열악한 청천초교 앞 교차로 외 7개소를 개선했으며, 가로 조명지주 관련 예산과 신호등 전기요금 절감 효과도 발생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횡단보도 통합지주에 인천만의 디자인을 부착하여 안전(安全)·미(美)를 입힌 최초의 교통안전 통합지주 설치의 발판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