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7월 수백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라오스 댐 붕괴사고와 관련해 SK건설의 책임론이 거세지고 있다.(사진=SK건설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지난 7월 수백여 명의 사망‧실종자를 양산한 라오스 댐 참사에 대한 SK건설의 책임론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결국 이번 참사는 회사의 과도한 욕심이 부른 인재(人災)라는 주장이 제기돼 파장이 일고 있다.
15일 김경협(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라오스댐 관련, 기획재정부‧수출입은행‧한국서부발전 등 자료와 SK건설의 2012년 집중경영회의 문건 등을 제출 받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이 같이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SK건설 문건 중 ‘라오스 프로젝트 실행계획’이란 제목의 글 내용에서 사측이 이윤 극대화를 목적으로 임의로 설계를 변경해 조기 완공을 강행하려 한 정황이 드러났다.
김 의원이 공개한 SK건설 문건에는 라오스댐 시행사인 ‘PNPC’는 2012년 8월 29일 공사비 6억8,000만 달러 규모의 주요조건 합의서(HOA·Heads of Agreement)를 체결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HOA란 계약 당사자가 본 계약 체결 이전에 주요 조건들에 대한 사전 합의 내용을 담는 문서다.
여기엔 공사 금액은 물론, SK건설 측에 관리비 및 이윤(O&P‧Overhead & Profit)으로 8,300만 달러(공사비의 12.2%)를 보장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한 SK건설은 공사비 절감액 2,800만 달러와 함께 조기 완공할 경우 인센티브 보너스를 별도 지급한다는 조항도 담겼다.
SK건설은 2012년 11월 열린 집중경영회의를 통해 설계변경 권리를 최대한 활용, 이윤 등을 공사비의 15% 수준인 1억200만 달러를 추가 확보하기 위한 전략까지 구상했다.
설계 변경 감행해 조기 완공 인센티브 추가 확보?
댐 형식이나 축조재료 변경 등으로 공사비 추가 절감에 나서는 한편, 2013년 4월 예정된 댐 공사 착공을 의도적으로 지연, 다른 출자자들을 압박해 조기 완공에 따른 인센티브 보너스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구체적 실행 계획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SK건설과 ‘PNPC’는 2013년 11월 최종 계약에서 사전 합의서대로 공사비를 6억8,000만 달러로 합의했다.
특히 ‘조기 완공 인센티브 보너스’의 경우 2017년 8월 1일 이전(before the Impouding Target Date)에 조기 담수(early impounding)가 이뤄지게 되면 2,000만 달러를 지급한다는 조건을 담았다.
김 의원은 “공사 과정에서 실제 SK건설이 시행사와의 계약상 최대 이윤을 내기 위해 무리한 시공을 단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기본 설계상 라오스 댐 보조댐 5개의 높이는 10∼25m임에도 실제 시공 높이는 3.5∼18.6m로 6.5m로 낮아져 그만큼의 차익을 SK건설이 취하려 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SK건설은 “해당 문건은 사업 추진과정에서 검토된 것일 뿐 최종 확정된 내용은 아니다”라고 김 의원 측에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김 의원은 “라오스 댐 참사는 설계 변경까지 감행하면서 이윤과 조기 완공 보너스를 챙기기 위한 SK건설의 과도한 욕심 등에서 비롯된 총체적 인재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