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자료사진/ 기사내용과 무관. (사진=픽사베이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서울시가 추진 중인 ‘지하철 무인화 사업’에 서울교통공사 노조 등 반발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시민사회에서도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서울시 산하 서울교통공사는 해당 사업과 관련해 지하철 역사 무인화 및 전동차 무인운행 계획 등을 밝히며 노조와 시민사회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20일 생명안전 시민넷에 따르면 지하철 무인화 사업이 시민 안전 문제에 직결됨에도 의견수렴 절차조차 거치지 않았다는 이유 등을 들어 서울시와 박원순 시장에게 소통의 장 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지하철 무인화는 장애인, 노인, 어린이 등의 안전과 편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뿐더러 시민들과 생명‧안전‧생활과 밀접한 사안”이라며 “서울교통공사의 일방적 추진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시민들과 안전약자, 이해당사자들과의 의견수렴과 소통이 간과된 것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시민넷은 박 시장에게 보내는 의견서를 통해 역사와 전동차의 무인화가 추진될 경우 과연 시민 안전이 얼마나 담보됐는지에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역사가 무인화될 경우 낯선 길을 가거나 서울을 방문한 사람들, 외국인 등이 도움을 필요로 했을 때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특히 “장애인, 노인, 어린이, 임산부, 환자 등 안전 약자에게 역사 무인화와 전동차 무인화는 여러 불편을 끼칠 뿐 아니라 사고 발생시 안전약자에게 더 큰 위험을 전가하리라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전동차 무인화는 안전 문제에 이어 고용의 문제까지 불거질 가능성이 있음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 시민넷은 “아무리 기술과 기계가 완벽하다고 해도 이를 운영하는 것은 사람”이라며 “기술이 문제가 아니라 지금의 시스템이 사람의 안전을 뒷받침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충분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문제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면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볼모로 이익과 효율을 추구한다는 비판에 직면할 것”이라 경고했다.
한편,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최근 서울지하철 8호선에 무인운전시스템(DTO)과 스마트 스테이션을 시범 운영, 사실상 ‘지하철 무인화 사업’을 강행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당시 공사 노조는 사측이 시민의 생명‧안전 분야를 수익화 하고 있다는 등의 이유로 강력 반발했으며, 최근 사업 반대 움직임이 시민사회까지 번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