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노인요양시설 내 대형가전들이 부실한 관리 탓에 화재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사진=한국소비자원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노인요양시설 내 대형가전 등에 안전점검이 부실하게 이뤄짐에 따라 이로 인한 전기 화재 위험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 발생 시 자칫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시설 내 전기 제품들에 대한 주기적인 안전점검은 물론, 명확한 평가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7일 한국소비자원은 수도권 소재 노인요양시설 20개소에 설치된 대형가전 411대를 대상으로 한 전기화재 안전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소비자원 조사 결과 시설 내 구비된 대형가전 411대 중 239대, 무려 58.2%가 별도 안전점검 없이 권장사용기간을 초과한 채 상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대 가운데 1대 이상이 아무런 조치없이 그대로 방치된 셈이다.
장기간 사용된 가전제품의 경우 안전점검을 주기적으로 받지 않으면 내구성 저하는 물론, 전기 절연에 따른 성능 저하 등으로 전기화재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노인요양시설에 설치·사용되고 있는 가전제품은 대부분 일반적인 사용조건을 상회(TV 상시 시청, 세탁기 다량·다회세탁 등)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 제품의 안전점검 및 관리방안 마련은 필수다.
대형가전 설치·사용에 대한 환경 관리 역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노인요양시설에서 설치·이용 중인 대형가전 411대 제품들에 대한 환경 관리 조사 결과 크게 부실한 점이 드러난 것이다.
이들 유형으론 ▲에어컨에 문어발식 배선 사용(21/144대, 14.6%) ▲불안전한 TV 설치(35/137대, 25.0%) ▲세탁기에 방적형(덮개‧접지 有) 콘센트 미사용(33/57대, 57.9%) ▲냉장고 방열판 내부 먼지 축적(21/56대, 37.5%) ▲김치냉장고 콘센트 접촉부 먼지 축적(6/17대, 35.3%)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각 관계 부처에 ▲노인요양시설 가전제품 안전관리 매뉴얼 마련‧제공 ▲노인요양시설 가전제품 안전점검·평가기준 마련 등을 요청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