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국외대에서 이른바 '미투 가해자'로 지목된 한 교수가 최근 학교에서 포상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총학 등 학생들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사진=한국외대 홍보영상 갈무리)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과거 제자 성추행 의혹 등을 받으며 학생들에게서 이른바 ‘미투 가해자’로 지목된 한국외국어대학교(한국외대) 소속 한 교수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학생들은 해당 교수가 관련 의혹으로 인해 학교에서 받은 징계가 정직 3개월 처분으로 솜방망이 수준에 그쳤다는 지적에 더해 최근 이 교수가 장기근속 포상까지 받았다는 사실에 분노하고 있다.
9일 한국외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이하 총학 비대위)는 자료를 통해 ‘권력형 성폭력 가해 교수의 순금 포상을 규탄한다’며 오는 13일 오전 세종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연다'고 밝혔다.
한국외대 총학 비대위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중순 A교수가 2008년 당시 자신의 제자를 상대로 부적절한 신체 접촉 등 상습적인 성추행을 저질렀다는 ‘미투’ 글이 SNS에 게재되며 파장이 확산됐다.
이후 A교수는 대학 징계위원회에 회부됐고 ‘정직 3개월’ 처분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더해 A교수는 올해 4월 열린 한국외대 65주년 개교기념식에서 ‘장기근속 포상’을 학교로부터 받았다.
이 같은 학교 결정에 학생들은 즉각 반발했다. 해당 교수가 받고 있는 의혹에 비해 처분이 너무 가볍다는 것. 이를 ‘솜방망이 처분’으로 규정한 학생들은 징계위원회 위원 구성 및 모호한 학교 규정‧절차 등으로 사안을 확대해나가는 양상이다.
◆ “적법 절차 거친 것” VS “학생이 피해 당사자, 의견 낼 수 있어야”
이선범 총학 비대위원장은 “채용시점으로 봤을 때 A교수의 포상은 작년에 이뤄져야 했음에도 학교가 올해 시상한 데 대해 대학 측이 당시 ‘미투’ 열풍으로 들끓던 여론을 의식, 일부러 수상을 연기한 것 아닌지 의심된다”며 “학생이 직접 당한 피해임에도 학생들이 제 목소리를 낼 수 없는 현 대학 구조에 답답함을 느낀다”고 토로했다.
총학 비대위 측은 A교수 징계 당시 관련 징계 과정과 결과를 알려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수차례 보냈지만 돌아오는 것은 학교 측의 ‘규정과 절차상 알려줄 수 없다’는 답변뿐이었다.
이후 학생들은 학생 총회를 거쳐 학생이 배제된 징계위원회 절차 개선과 A교수의 파면을 요구했지만 학교 측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고도 했다.
또 비대위는 “올해 4월 19일 열린 65주년 개교기념식에서 학교본부가 A교수에게 금 3돈(한화 약 60만 상당)을 포상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면서 “사실관계 파악을 위해 학생 측 요청으로 교무처 면담이 진행됐지만, 학교는 ‘모른다’는 식으로 대답을 회피했다”고 말했다.
당시 대학 측은 학생과 당사자, 학교 간 입장차는 있을 수 있으며, 장기근속상 수상과 도의적인 문제는 별개의 사안이란 취지의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총학 비대위는 A교수 사건과 관련해 학교 측 일련의 결정 과정에서 학생들 의견이 철저히 묵살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위원장은 “학교가 규정과 절차 자체를 방패로 삼아 학생들의 요구를 무시하고 있다”며 “가해 교수의 학교 처분처럼 징계 과정도 신뢰할 수 없는 것이, 학생이 피해 당사자인 사건조차 학생 의견이 전혀 고려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총학 비대위 측은 직접 교육청에 관련 정보공개를 요청할 방침이다.
이들은 이번 A교수 사건을 ‘권력형 성폭력’으로 규정해 대학의 안일한 대응을 규탄하는 한편, ▲해당교수의 장기근속포상 철회 및 파면 ▲교원징계절차 개선 ▲징계위원회 내 학생위원 참여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총학 비대위는 이번 기자회견 이후에도 이번 사안과 관련해 ‘학내 SNS 릴레이’, ‘학교 규탄 문화제’ 등을 꾸준히 진행하면서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한국외대 관계자는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이전과) 크게 달라진 입장은 없다”며 “일련의 모든 과정들은 정당한 절차에 따른 것”이라고 말해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