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약(생약)제제의 부작용을 줄여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정부가 부작용 모니터링 담당 병원을 지정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세계로컬타임즈 김동영 기자] 정부는 한약(생약)제제의 부작용을 줄여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부작용 모니터링 담당 병원을 지정했다.
1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따르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 지정·관리하는 지역의약품안전센터에 ‘동국대학교일산불교한방병원’을 추가하고, 한약(생약)제제 부작용 모니터링을 담당하도록 했다.
‘지역의약품안전센터’란 의약품 부작용 사례를 수집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보고하고, 부작용 보고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교육·홍보 등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현재 서울대병원‧대한약사회 등 27개 거점 종합병원 및 단체가 지정돼 있다.
이번에 지정된 ‘동국대일산불교한방병원’은 기본적인 부작용 정보 수집뿐만 아니라 병원 전자의무기록(EMR)을 분석·활용해 의약품 부작용 모니터링 기반을 구축하는 등 한약(생약)제제에 특화된 부작용 관리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번 한약(생약)제제 지역의약품안전센터 지정을 시작으로 한약(생약)제제에 대한 부작용 모니터링을 강화한다”며 “소비자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