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개월치 분량 확보
검사기한 단축 전망
 |
▲ 정부가 중국 측과의 협의로 기계약분 약 1만9천톤의 요소 수입을 확인했다. 국내 한 대형마트에 요소수 입고 지연을 알리는 안내문이 내걸려 있다.(사진=세계로컬타임즈DB) |
[세계로컬타임즈 이호 기자] 사실상 중국의 수출규제로 최근 국내 요소수 품귀 대란이 발생한 가운데 양국 정부 협의에 따라 한국 기업들이 이미 계약한 요소 물량 약 1만9,000톤에 대한 수입 절차가 진행된다. 이는 국내 요소수 2~3개월치 소화량으로 일단 급한 불은 껐다는 평가다.
◆ 7천톤 중 일부, 이미 검사절차도 완료
외교부는 “중국산 요소 수입절차의 조속한 진행을 위해 그동안 다양한 채널을 통해 중국 측과 소통해왔다”며 “그 결과, 우리 기업들의 이미 계약된 물량 1만8,700t에 대한 수출 절차가 진행될 것임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해당 물량은 이미 우리 기업들이 계약을 마쳤음에도 중국 측이 돌연 수출제한 조치를 내리면서 국내 반입이 어려워져 정부가 우선 도입을 추진해온 것이다. 이들 가운데 절반가량은 차량에 쓰이는 차량용 요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한국 기업들이 수출 전 검사를 신청한 약 7,000톤 물량 중 일부는 이미 검사 절차도 완료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구체적 수치는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 외교부는 이날 “중국 현지 공관에 따르면 우리 기업이 수출 전 검사를 신청한 일부 물량의 검사가 완료됐다”고 확인했다.
현재 수출 막바지 단계를 밟고 있는 물량 가운데 차량용 요소 수천t(추정)의 경우 선적·운송에 2~3일 정도 걸릴 것으로 감안하면 일주일 내 국내 요소수 제조 공장에 입고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계약된 물량에 대한 수출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중국이 수출 전 검사 등 관련 작업의 신속한 진행에 협조할 경우 당분간 국내 수급 상황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요소 1만8,700t은 요소수 내 요소 함량이 약 30%인 것을 감안하면 요소수 총 5만6,100t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국내 자동차의 1개월분 사용 물량이 약 2만4,000∼2만7,000톤이란 점을 고려하면 2~3개월 정도 쓰일 수 있다.
앞서 중국은 최근 자국 내 석탄·전력난으로 요소 물량이 부족해지자 수출 전 검사를 의무화하는 등 사실상 수출제한 조치에 나섰다. 이에 따라 디젤 화물차 운행에 필수인 요소수 품귀 현상이 빚어지면서 국내 물류대란 우려마저 커진 상황이다.
한편 정부는 중국 이외에도 베트남 등 여타 국가와도 ‘요소 외교’를 벌이고 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국회 예결위 회의에서 “수만t가량의 요소 수입 협의가 일부 국가들과 거의 막바지 단계에 이른 상태”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