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청 로고. |
[세계로컬신문 김수진 기자] 경찰청은 제7회 6·13 전국동시지방선거와 관련 전국 경찰관서별로 '선거사범 수사상황실'을 설치하고 수사전담반 2041명을 편성해 △금품선거 △흑색선전 △여론조작 △공무원 선거개입 △선거폭력 등 주요 선거사범에 대한 강력한 단속을 전개했다.
그 결과 14일 기준 1818건, 2665명 단속해 9명을 구속, 190명을 불구속하고 1938명은 수사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거범죄 공소시효(6개월)가 짧은 점을 감안해 신속 수사로 마무리하고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당선 여부를 불문하고 철저히 수사해 그에 상응하는 처벌을 받을 수 있도록 엄정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전체 선거사범은 지난 제6회 지방선거 동기간 대비 전체 단속인원은 466명 감소(14.9%)했고 구속 인원도 21명 감소(70%)했다.
'사이버 선거사범'은 총 240건 389명을 단속해 전체 선거사범 14.6% 차지해 제6회 지방선거 대비 단속인원 138명 증가(55%)했다.
그 이유로는 공명선거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수준이 높아졌고 그간 경찰의 집중적인 단속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의 지속적인 홍보·계도 활동, 사회 각층의 깨끗한 선거문화 정착을 위한 노력이 선거사범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사회관계망 서비스 발달과 인터넷을 통한 선거운동이 상시 허용됐고 인터넷을 이용한 허위사실 공표·후보자 비방 등의 범죄 발생이 용이한 환경 변화에 따라 사이버 선거사범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제6회 지방선거 대비 '금품선거' 행위는 감소(23.1%)하고 허위사실 공표·후보자 비방 등 '흑색선전' 행위는 증가(7.0%) 했다.
전반적인 국민 의식수준이 높아지고 수사기관과 선관위의 단속 및 처벌이 강화되면서 금품·향응 등으로 유권자를 매수하는 '금품선거' 행위는 감소했으나 여전히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나타났다.
인터넷상 선거운동이 상시 허용되고 단기간의 사실관계 확인이 어려운 점을 악용해 인터넷을 활용한 음해성 유언비어 유포 등 '흑색선전' 행위는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으로도 경찰은 선거사범의 공소시효가 6개월로 단기인 점을 감안해 현재 수사중인 사건에 대해 신속하고 철저히 수사를 진행해 조속한 시일 내에 수사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또 향후 당선자 등이 답례로 금품·향응을 제공하는 등 불법행위가 있을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해서도 첩보수집과 단속을 강화하고 선거범죄에 대해서는 당선 여부를 불문하고 철저히 수사해 이에 상응한 처벌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깨끗하고 공정한 선거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