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공진중학교, 서울시민 위한 환경교육체험관…교육·문화·휴식 공간
교육시설·미니온실 등 생태환경…제로에너지건축물 리모델링해 탄소중립 모델 제시
 |
▲ 강서구 옛 공진중학교에 서울시의 첫 환경교육 인프라가 구축된다. (사진=서울시) |
[세계로컬타임즈 이호 기자]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서울시와 환경부, 서울시교육청이 환경교육 인프라를 구축한다.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학령기 아동 인구 감소로 작년 3월 폐교한 후 쓰임 없이 방치된 강서구 옛 공진중학교 부지(부지면적 7,052㎡)에 기후·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체험이 이뤄지는 환경교육 거점시설인 ‘(가칭)에코스쿨’이 들어설 계획이다.
이는 서울지역 최초의 광역 단위 환경교육시설로, 내년 상반기 실시설계를 완료한 후 하반기 착공에 들어가 2024년 9월까지 준공할 계획이다.
한정애 환경부장관,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서울시교육청 강당에서 ‘에코스쿨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에코스쿨’은 아동·청소년뿐만 아니라 전 세대를 아우르는 서울시민들이 환경에 대해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환경교육체험관이자 교육·문화·휴식 공간으로 조성된다.
‘에코스쿨’ 내부엔 전시실, 학습실 같은 교육시설이 설치되고, 운동장 부지와 옥상 등을 활용해 미니온실, 텃밭, 숲, 논·밭, 연못 같은 생태환경이 조성돼 시민·학생들이 양질의 환경교육을 받을 수 있다.
협약에 따라 세 기관은 기존 공진중학교 건물을 제로에너지 건축물로 리모델링해 학교 건물의 탄소중립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제로에너지건물(Zero Energy Building)이란, 단열성능을 극대화해 에너지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생산을 통해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을 말한다.
시설 조성(총사업비 242억 원)과 운영에 들어가는 예산은 세 기관이 분담한다.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은 기본 계획 수립과 실시설계를 진행하고, 에코스쿨을 공동 운영한다.
기후·환경교육 연구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과 시민을 대상으로 교육도 실시한다.
환경부는 기후·환경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교구·교재 등을 지원한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