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해 안전사고 건수가 전년 대비 증가한 가운데, 그 원인 중 하나로 법정감염병 급증이 꼽혔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줄어들었으나 상대적으로 급증한 자살‧법정감염병 발생에 3만여 건이 넘는 안전사고가 일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안전한 지역으로는 광주광역시와 경기도가 꼽힌 반면, 세종‧제주 등은 안전에 취약한 지역으로 분류됐다.
행정안전부는 ‘2019년 전국 지역안전지수’(2018년 통계 기준)를 10일 공개했다.
이는 교통사고‧화재‧범죄‧생활안전‧자살‧감염병 등 총 6개 분야별 전국 지방자치단체(17개 시·도 및 226개 시·군·구)의 안전 수준을 수치화한 것으로, 각 지자체의 안전관리 책임성을 강화하고 자율적인 개선을 유도하기 위한 조사 결과다.
◆ 제주-세종-전남-부산, ‘5년 연속 꼴찌’ 오명
조사 결과, 지난해 안전사고 사망자는 3만1,111명으로 전년 대비 10.4% 증가했다. 최근 3년 간 감소세를 이어오다 4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셈이다. 안전사고 사망자란 질병에 따른 사망이나 자연사가 아닌 외부 요인 또는 법정감염병에 의한 사망자를 뜻한다.
정부는 지난해 안전사고 사망자가 증가한 원인으로 자살과 법정감염병 사망자의 급증을 꼽았다. 실제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1만3,670명으로 전년(1만2,463명)보다 9.7% 증가했으며, 법정감염병 사망자 역시 전년 2,391명에서 3,071명으로 28.4%나 올랐다.
특히 이런 ‘감염병’ 사망자 폭증 현상은 C형 간염이 법정감염병으로 편입된 데다 인플루엔자 사망자(262명→720명)도 대거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교통사고 사망자(고속도로 사망자 제외)는 4년 연속 감소세를 타고 있다.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3,529명으로 전년 대비 10.4%(408명) 줄어들면서, 총 4년(2015~2018년) 간 19.4%(851명) 감소했다.
이와 관련, 행안부는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 원인을 국도 및 지방도로의 교통단속 CCTV 증가를 지목했다. 실제 감시카메라 설치는 전년 대비 14.6% 오른 7,091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이번 안전 지수는 ▲각 분야 사망자 수 등을 포함한 위해 지표(50%) ▲지역별 인구특성 등을 고려한 취약지표(25%) ▲지자체의 노력 정도 등을 담아낸 경감지표(25%)를 근거로 평가해 5등급으로 분류했다.
이에 따라 광역자치단체 중 1등급 지역은 ▲서울·경기(교통사고) ▲광주·경기(화재) ▲세종·경북(범죄) ▲부산·경기(생활안전) ▲서울·경기(자살) ▲광주·경기(감염병) 등으로 집계됐다.
반면, 안전 취약으로 분류된 5등급 지역은 ▲세종·전남(교통사고) ▲서울·제주(범죄) ▲세종·제주(생활안전) ▲부산·충남(자살) ▲대구·강원(감염병) 등이다.
이 중 제주(생활안전, 범죄)와 세종(화재), 전남(교통사고), 부산(자살)은 해당 분야에서 5년 연속 꼴찌인 5등급에 그쳐 안전개선 의지가 의심되는 지역으로 조사됐다.
행안부는 이번 안전지수 개선도 여부를 평가해 각 지자체를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 2020년 소방안전교부세의 5%를 이번 결과와 연계해 등급이 낮은 지역에 3%, 높은 개선도를 달성한 지역에는 2%로 각각 나눠 지원할 방침이다.
진영 행안부 장관은 “보다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지자체 차원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