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실련 조사 결과 미래통합당 의원 40%가 다주택자인 것으로 나타났다.(사진=경실련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미래통합당 소속 국회의원 10명 중 4명은 2주택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 역시 다주택자는 42명에 달한다는 앞선 조사 결과도 있었다.
통합당 의원들이 소유한 평균 부동산 재산은 21억 원으로, 이는 국민 7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위 10% 의원의 1인당 부동산 재산만 100억 원대에 이르렀다.
◆ 상위 10%, 부동산 재산만 100억원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은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재산 신고내용을 분석한 결과 21대 미래통합당 의원 103명 중 41명(39.8%)은 다주택자”라고 밝혔다.
이번 경실련 분석은 지난 4·15총선 출마 당시 각 후보가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한 부동산 재산 내역을 토대로 실거래가가 아닌 공시지가 기준에 따라 이뤄졌다. 총선 뒤 매입 또는 매각한 재산은 반영되지 않았다.
경실련에 따르면 통합당 소속 의원 103명의 부동산 신고총액은 2,139억 원으로, 1인당 평균 20억8,000만 원에 달했다. 이는 국민 평균 3억 원의 7배이자 민주당 의원 1인당 평균액 9억7,000만 원의 2배 수준이다.
특히 통합당 상위 10% 의원 10명의 재산 신고총액은 1,064억 원으로, 1인당 평균액은 106억4,000만 원이다. 여기에는 박덕흠‧백종헌‧김은혜‧한무경‧안병길‧김기현‧정점식‧강기윤‧박성중‧김도읍 의원 등이 포함됐다.
또한, 본인‧배우자 명의로 주택을 보유한 통합당 의원은 94명으로, 이 중 2주택 이상 다주택자는 41명, 전체의 40%에 달했다. 2주택자 36명에 이어 3주택자는 4명, 4주택 이상은 1명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국가 부동산정책을 주무르는 국토위나 기재위에 2주택 이상 다주택 소유 의원들이 대거 포진했다는 점이다. 통합당 다주택자 의원 41명 중 국토위‧기재위 소속은 무려 10명(24%)에 달했다.
![]() |
ⓒ 경실련. |
통합당 의원 소유 141채 주택의 수도권 편중 실태를 분석한 결과, 서울 65채(46.1%), 수도권에 85채(60.3%)가 편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가액 기준으로 보면 전체 신고액 968억 원 가운데 서울 671억 원(69.3%), 수도권 773억 원(79.8%)으로 편중이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통합당 103명 중 본인‧배우자 명의로 강남 4구에 주택을 보유한 의원은 27명으로, 총 29채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27명 의원 중 서울이 지역구인 의원은 1명(유경준 의원‧서울 강남병)에 불과했다. 22명은 서울 이외 지역구 의원이고, 4명은 비례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실련은 “다주택을 보유한 부동산부자 의원들은 국토위‧기재위 등 유관 상임위에서 활동해서는 안 된다”며 “이해충돌 방지를 위해서도 상임위 이동이 이뤄져야 하며 부동산재산은 모두 시세대로 공개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경실련이 지난달 발표한 조사에선 21대 국회의원이 신고한 부동산재산은 총 4,057억 원으로 의원 1인당 평균 13억5,000만 원에 달했다.
정당별로는 ▲미래통합당 20억8,000만 원 ▲더불어민주당 9억8,000만 원 ▲정의당 4억2,000만 원 ▲국민의당 8억1,000만 원 ▲열린민주당 11억3,000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