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로컬신문 김수진 기자] 소비자와 양계축산농가에 큰 피해를 입히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방지에 대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대책을 논의했다.
23일 행정자치부와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민안전처와 환경부, 질병관리본부 등 관계부처와 17개 시·도 부시장부시사가 모여 '제21회 중앙지방정책협의회'를 열었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AI와 구제역 방지를 논의했다.
농림부가 마련한 AI와 구제역 방역 개선대책안에 따르면 농장 차단방역 강화와 가금류 유통구조 개선, 계열화사업자 책임강화, 발생위험지역 관리 강화 등에 대해 설명했다.
또 인접국가에 AI와 구제역이 발생시 조기 감지하고 발생 상황별 사전 대응체계 정비 필요성도 논의됐다.
위기경보 단계 축소, 환경부하 감소 및 안전성 확보, 방역대 해제 및 재입식 요건 관리강화 등 신속하고 강력한 초동대응 방법을 논의했다.
또 효율적인 방역 시스템을 위해 가죽질병 R&D 확대와 지자체 및 중앙정부 방역 역량 강화 등도 설명·논의했다.
지자체도 AI와 구제역 방지를 위한 제언에 나섰다. 지역별 추진상황을 발표하고 겨울철 휴기지 도입, 동물복지형 농장육성 확대, 지자체 방역조직 및 인력 확대와 관계부처 지원 필요성을 건의했다.
이날 행정자치부 측은 지자체 건의사항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관계자는 "성공적인 방역을 위해서는 지자체와의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하다"며 "지자체 건의사항에 대해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AI 인체감염예방 조치 강화(질병관리본부) 등 중앙부처 협조사항과 농어촌 의료기관 간호인력난 해소(충남, 전남) 등 지자체 현안 건의·협조사항에 대한 다양한 사안들도 논의됐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