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달 비닐봉투에 담겨 배송된 일부 지자체들의 정기간행물.(사진=세계로컬타임즈 DB) |
[세계로컬타임즈 조주연 기자] 정부가 지난 1일부터 일정 면적 이상의 슈퍼마켓을 비롯한 대형마트 등에서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 금지를 시행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지자체들이 발송하는 정기간행물이 도마에 올랐다.
국민들의 일회용품 사용을 규제해 보겠다고 과태료 카드까지 꺼내들었지만, 정작 공공기관과 일부 지자체들이 발간하는 정기간행물들이 일회용 비닐봉투에 담겨 발송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3개월 전국의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일회용 비닐봉투에 담아 발송한 정기간행물은 수백만부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의 일회용 비닐봉투 포장 정기간행물 발송은 대부분 용역 입찰로 진행하고 있어 배포 방식을 일회용 비닐봉투가 아닌 종이봉투로 충분히 변경할 수 있던 상황이었다.
사실상 지자체와 공공기관 정기간행물 발간 관계자 중 단 한사람의 의식만 있었어도 수만에서 수십만개의 비닐봉투 사용을 막을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며, 관련 공무원들의 의식 개선과 관련 제도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지난 1월 정기간행물을 제작할 업체를 선정했는데, 배포 방식을 일회용 비닐봉투로 지정했다. 그 부분까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실수다”라며 “다음달 부터는 종이봉투로 바꾸겠다”고 해명했다.
환경운동가 이범수씨는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폐기물 문제로 전국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지자체에서 비닐봉투 살포는 납득하기 어렵다”며 “환경에 대한 공무원들의 의식 변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제도적으로 관련 징계 등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